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

Chunking

그럴듯한 체스 게임을 5초 동안 보여주고 기물의 위치를 외우라고 했을때 일반인은 한번에 4개, 체스 마스터는 16개의 기물 위치를 외웠다. 이들의 뇌가 특별한 것일까? 그렇지 않다.
무작위로 놓여진 체스 기물들을 가지고 테스트를 했을 때는 실력에 상관없이 한번에 4개를 외웠다.

체스 마스터가 특별했던 이유는 수 많은 체스 게임들을 봐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뇌가 패턴을 학습한 것이다.

Pasted image 20250207144142.png

움직이지 않은 기물들, 폰이 걸려있는 것, 나이트가 퀸에 대해 핀되어 있는 것, 양쪽 캐슬링이 가능한 것 등의 패턴 말이다. 이러한 현상을 Chunking이라고 한다. 정보를 의미단위로 묶어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곧 직관으로 이어지고, 체스 선수들이 직관적으로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게 되는 것이다.

전문가가 되기 위한 4가지 기준

#1 반복가능한 환경

정치학자 필립 테틀록은 Expert Political Judgment 에서 1987-2003동안 284명의 정치 및 경제 동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정학적 사건에 대한 예측을 요청했고, 82,361개의 예측을 정량화했다. 결과는 놀랍게도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예측 정확도는 무작위 예측보다 낮았다.

샘플 질문은 "고르바초프가 쿠데타로 축출될까?",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의 비폭력적 종결이 있을까?" 등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의 공통점은 동일한 상황이 반복되지 않고 일회적인 사건에 그친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동일한 상황을 맞닥뜨릴 기회가 없으며, 따라서 각각의 상황에 대한 숙달을 얻을 수도 없다.

#2 규칙성이 존재하는 대상

그렇다면, 카지노에서 돈을 걸고 룰렛을 돌리는 사람은 룰렛 예측의 전문가가 될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왜냐하면 룰렛은 반복적이지만 그 결과는 무작위이고, 패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반복이 있어도 룰렛전문가는 없다.

#3 시기적절한 피드백

반복적이고 규칙성이 있더라도 우리는 거기서 피드백을 얻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도 없다. 피드백 없이는 학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피드백을 얻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도 학습이 이뤄지기 어렵다. 따라서 피드백은 즉각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4 의식적인 훈련

마지막으로, 의식적인 훈련이 있어야 한다. 우리의 행동은 무의식적인 행동과 의식적인 행동이 있다. 인간은 처음에는 굉장히 어려운 운전도 몇달만 지나면 능숙하게 되고 무의식의 영역에서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 능력은 거기에 고정된다. 의식적인 훈련을 지속하지 않는다면, 성장할 수 없다. 바둑이나 체스에서도 판수는 굉장히 많지만 실력은 그대로인 사람이 있다. 아주 오랫동안 바둑을 두어 왔지만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실력이 다르지 않기도 한다. 그런 사람들의 특징은 주의를 집중하고 주도적으로 의식적으로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닌, 휴식을 위해 설렁설렁 큰 노력 없이 둔다.


이 내용을 받아서 무의식과 뇌에 관한 이야기로 연결
영어공부룰 어떻게 할지로도 뻗어감
ai연구쪽으로도 뻗어
ㅡㅡㅡ
피드백회로71p: 그렇다면, 1차감각을 떠올릴때 우리는 완벽한 상을 떠올리지 못하는데 그게 오히려 우리 뇌속의 범주화를 의미하지않을까 내가 싯물학자가 되면 각 나무간의 차이점을 알고 주목하며 전문적 범주화와 그를 통한 자세한 상상을 가능케 되겠지만 일반인에게는 그냥 나무라는 이름으로 대강 범주화되어 머릿속에 상상된다. 그게 우리 뇌가 지각을 범주화히여 정보를 정리하는 방식이다. 그것을 우리가 의식적으로 느끼는 상황이 바로 피드백

Veritasium, "The 4 things it takes to be an expert"